고창군이 독립운동가 발굴과 포상 신청을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주도한 사례로 전북특별자치도의 ‘2025년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5월20일 전북특별자치도청에서 열렸으며, 이번 경진대회에는 전북도와 시군에서 추천한 총 10건의 우수 사례가 참여했다.
최종 수상작은 1차 실무심사와 도민참여 온라인 투표, 현장 발표심사를 거쳐 선정됐다. 고창군의 사례는 독립운동가를 찾아내고 서훈까지 이끈 일련의 과정을 지자체가 직접 기획·추진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기존에는 독립유공자 포상 신청이 정부나 유족 개인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고창군은 자체 예산을 확보하고, 전문 연구용역을 통해 지역 내 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해 독립유공자 포상 신청으로 연결했다.
고창군은 지난해 10월31일 심덕섭 군수가 국가보훈부를 직접 방문해, 고창 출신 독립운동 참여자 103명의 서훈 신청서를 공식 접수했다. 이후 2025년 제106주년 3·1절을 맞아 윤욱하 선생 등 고창고보 출신 6명이 독립유공자로 서훈됐다. 이는 지자체가 독립유공자 발굴과 예우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첫 사례로, 보훈문화 확산과 지역 정체성 복원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고창군의 사례는 지역사회가 자율적으로 역사적 과제를 발굴하고, 공공의 책임 하에 그 가치를 제도적으로 복원해낸 모델로 평가된다. 지방행정이 단순 민원 대응이나 복지 행정을 넘어, 역사 정의와 국가 보훈 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이기도 하다.
심덕섭 군수는 “지역의 숨어 있는 독립운동가를 조명하고, 그분들의 헌신에 합당한 예우를 해드리는 것이야말로 군민의 자긍심을 높이는 길”이라며, “앞으로도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행정을 통해 역사와 정의가 살아 숨 쉬는 고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고창군은 향후 독립운동가 유족에 대한 예우와 지원, 관련 선양 사업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지역사회와 연계한 보훈문화 확산 방안도 병행해, 후대에 올바른 역사 인식과 시민적 책임감을 전하는 기반을 꾸준히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