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기사제보구독신청기사쓰기 | 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구독신청
광고안내
저작권문의
불편신고
제휴안내
기관,단체보도자료
 
뉴스 > 살며 생각하며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눈물의 독거노인(獨居老人)
토장 기자 / 입력 : 2013년 02월 05일(화) 10:45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중국 전한(前漢) 시대 유학자 동중서(董仲舒)는 공맹(孔孟)의 말씀을 바탕으로 쓴 자신의 저서 춘추번로(春秋繁露)에, 인륜의 실천덕목으로서 삼강오륜(三綱五倫)을 논해 놓았다. 오륜의 첫 번째로 부자유친(父子有親)을 언급한 의미는, 태어나면서 제일 먼저 맺어지는 인간관계임과 동시에 세상에서 가장 친해야 할 관계임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이 관계는 마음대로 선택하거나 바꿀 수 없는 절대적 천륜이다. 천륜을 도외시함으로서 부모와 자식 간에 존경과 사랑이 소홀해지면 가정은 위기를 맞이할 수밖에 없다.

가정이란 소단위 공동체가 삐걱거리게 되면 사회도 문화도 함께 발전할 수 없는 법이니, 집단윤리측면에서 봐도 존중되어야 마땅하나 세상은 그렇지도 않다. 부모를 정성으로 봉양하기는커녕 심하게 학대하며 심지어 버리기까지 하는 천인공노할 행위가 비일비재로 벌어진다.

오래전 음성 ‘꽃동네’에 자원봉사 갔었을 때 들었던 얘기다. 어느 날 정문 앞에 버려진 병든 노인을 모셔다 돌보면서 가족사항을 물었지만 대답을 하지 않았다. 그 후 병이 깊어져 운명해야할 순간이 다가오자 비로소, 모 국립대학 교수가 아들이니 연락해 달라고 했다. 어떤 기막힌 사정이 있었는지 몰라도, 명색이 사회 지도층인 그 사람은 한자락 양심도 없이 병든 아버지를 꽃동네에 팽개치고 유유히 사라졌다는 말이다.

서울 도봉동 일대 일정지역은 보증금 100만원으로 집을 구할 수 있을 만치 집값이 저렴해서 독거노인들이 선호하는 곳이다. 이곳에 떠밀려 살게 된 사연이사 구구절절 있겠지만 분명한 것은 가난해서다. 난방비를 아끼려고 전기장판도 보일러도 켜지 않고 옷을 세 겹 네 겹 껴입으며 이불은 2채씩 덮고 잔다. 창문에 스티로폼을 덕지덕지 붙이다 못해 아예 방안에 텐트를 치고 사는 사람도 있다. 이렇게 철저히 무장(?)을 해도 실내온도는 영상 4도에 불과해서 바깥 날씨와 비슷하다. 몇 십 년 만에 찾아온 올 겨울 강추위를 어떻게 보내야 할지 막막하기 그지없다. 식생활은 노인지원센터에서 일주일에 한 두 번 보내주는 식량과 밑반찬으로 근근이 해결한다. 안쓰러운 것은 이분들 중 80%가 가족이 있다는 사실이다. 부양가족이 있어도 혹시나 피해가 갈까 봐 말조차 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남모르게 고통 받고 있는 독거노인이 전국에 대략 4~5십만 정도라고 추정되어 사정은 매우 심각하다. 이분들이 다 살기 곤란할 정도로 가난하지는 않는다 해도, 대부분 우울증을 앓고 있을 만큼, 고립된 상태에서 오는 정서적 문제는 이미 사회적 병폐로 자리 잡았다.

혼자 살고 있을지라도 일생의 황혼이 꽤 괜찮다고 위안하며 관조의 미학에 빠지고 싶어도 배부른 사람들에게나 해당되는 일일뿐, 동반자가 되어버린 가난과 병마, 삭신을 파고드는 외로움이 앙금으로 남아 가슴 구석구석을 찢고 있어, 그저 한 조각 허허로운 꿈에 불과하다.

민족의 명절 설날을 맞으며 자꾸만 가족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어느 누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시간의 윤회를 거스를 수 있으며, 어떤 위대한 사람이 생노병사(生老病死)를 피해갈 수 있겠는가. 자식이 부모 되고 또 늙어 흙으로 돌아가는 것은 필연이요 숙명이다. 아무리 어려워도 부모봉양을 포기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세상 사람들 모두가 내 자식에 대한 사랑의 백분의 일이라도, 애견(愛犬)에게 쏟는 정성의 천분의 일이라도 부모에게 할애한다면 훨씬 훈훈한 설날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토장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고창농협, 상임이사 선출과 조합장 사퇴—조합 내 갈등, 어디
“2026 고창군수 선거, 누가 도전에 나서는가”
고창 선동초등학교 결국 역사 속으로
이해충돌방지법의 한계
[인터뷰] 고창군장애인체육회 홍기문 사무국장
고창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오는 3월5일 실시
한국국악협회 고창지부, 새 지부장 임병대 무투표 당선
고창미래교육센터, 160억 규모 교육혁신의 첫걸음 내딛다
정읍시, 초고압 송전선로 전면 반대 선언…“정읍을 포위하는
정읍·고창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마무리…7개 금고 새 이사
최신뉴스
멈춘 심장을 되살린 ‘현장의 군민’…고창 포크레인 기사의  
고창군정 만족도 72.1점…민선8기 3년차 군민인식조사  
고창군 ‘인구 5만 지키기 추진단’ 출범…민관 협력의 구  
고창군청 여자유도부, 양구 평화컵서 금3·은1·동2 수확  
고창 시티투어버스, 봄 시즌 테마형 관광 운행 종료  
정읍시, 집단급식소 위생관리 강화…우수 급식소 지정 추진  
미래의 손흥민, 정읍에 다 모였다…유소년 축구 페스티벌  
정읍시, 샘골·산내 보건지소 친환경 리모델링 공사 시작  
이학수 정읍시장, 중앙부처 방문 등 국가예산 확보 ‘총력  
고창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 교육 현장 소통의 장  
“동학의 고장, 대선을 움직인다”…정읍·고창 ‘용광로 선  
“불의에 맞서다, 역사를 깨우다”  
정읍시장애인복지관, 24개 지역 상점과 평생학습 협약 체  
정읍, 1894명의 진군으로 동학을 다시 걷다  
고창 신림면 사립도서관 ‘책이있는풍경’, 북콘서트로 문화  
편집규약 윤리강령 윤리강령 실천요강 광고문의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주간해피데이 / 사업자등록번호: 404-81-36465/ 주소: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곡로 38번지 상원빌딩 3층 / 발행인.편집인: 박성학
mail: hdg0052@naver.com / Tel: 063- 561-0051~2 / Fax : 063-561-5563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북 다01244 | 등록연월일: 2008. 5. 24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