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첨금처(沾襟處)의 유래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입력 : 2013년 01월 31일(목) 16:14
공유 :   
|
첨금처는 옛 무장고을 한제산(韓堤山)과 망치산(望峙山) 사이의 송현(松峴)골을 파고들어 효생(孝生)이 들까지, 그리고 방고개 앞 들에서 도산(道山) 구덕 골짜기를 감싸안은 드넓은 내륙 고라당이다.
이곳을 지리적으로 서해의 완만한 해안선을 끼고, 고만고만한 잿등으로 둘러싸여 기름진 논밭이 일구어지고, 고개마루에는 풍성한 산채들이 남녘 내륙 토산의 본향인데다, 해로의 운송길이 트이고 있어 역사적으로 고려시대 이후 조선 태조의 전제개혁이 이루어질 때까지 궁궐의 전각 마다에 소속되어 가꿔낸 토산물을 상납해오던 천민 공동체의 특수지역 제도권이다.
각 지역의 질 좋은 특산물을 직거래식 특수관리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포로와 죄인, 역적 관노 및 천민 등을 집단수용하는 처소(處所)를 제도화 함으로써 우리 고장에는 해산물 중심의 궁산처(弓山處)와 농산물 집성의 첨금처 두 곳을 고려 유적지로 남겨놓고 있다.
관찬지리지(官撰地理誌), 여지도서(輿地圖書)의 무장현 고적조(古蹟條)에 보면‘ 현의 동쪽 5리에 있고 멀리 싸움터로 떠나는 사람을 송별할 때, 그 집사람이 눈물로 옷깃을 적셨는데, 옛 첨금처라 이르는 곳이다(在縣東五里 征人送別時 家人有泣下 故名曰 沾襟處).
그러나 조선 말기에 나온 읍지 기록에는 엉뚱하게도 첨금정(沾襟亭)으로 변조되고, 만역 25년 10월 통제사 이순신 명(萬歷 二十五年 十月 統制使 李舜臣 銘)으로 새겨놓을 것을 두고, 뜻 있는 고로들은 구한말의 어수선할 때 저즐러놓은 후손들의 농간이었을 것이라 하며(*) 아마 뒷날에 큰 사단이 될 것이라 하였다. 이와 같은 엄청난 역사 왜곡은 질 높은 고창군민의 문화의식에 먹칠이 아니되겠는가.
* 증언자 : 배성수(1910~1996 전 무장향교 전교), 정익환(1920~2000 전 무장향교 전교), 성하윤(1905~1993 전 무장향교 전교). 1979년 추계석전일 시 무장향교에서 증언
|
|
이기화(고창지역학연구소장)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송전탑 백지화” 전북 8개 시군, 한전 송전선로 전면 |
고창중학교, 어버이날 맞아 지역 어르신께 손편지·안마봉 |
정읍시, 공공산후조리원 설계 전면 조정…2026년 10월 |
정읍시, 10년 농촌공간 대개편 시동 |
정읍시, 읍면 평생학습권 보장…‘모두배움터’ 15곳 운영 |
정읍시, 생활환경에서 도시전략으로…친환경 정책 전방위 확 |
고창군, 가정의 달 맞아 고향사랑기부제 ‘1+1+1 통큰 |
고창군, 외부 청년농 유입 증가…정착 지원 강화 |
심덕섭 고창군수, 농민들과 모내기 동행 |
고창교육지원청-웰파크호텔, 교직원 복지 협약 체결 |
전북도의회, 송전선로 일방 추진에 제동 걸다 |
내장산, 다시 ‘한국관광 100선’ 중심에 서다 |
정읍 서남권 추모공원, 운영 방식 전면 조정 |
1894명의 발걸음, 정읍이 혁명을 다시 걷다 |
고창 복분자주, 호주 향해 수출 항해 나섰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