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역 이미지 망친다” 영광핵발전소 명칭 변경 추진
김동훈 기자 / 입력 : 2013년 01월 17일(목) 18:06
공유 :   
|
잇단 고장과 비리로 영광핵발전소의 불안감이 커지자 핵발전소의 명칭 변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영광주민들로 결성된 ‘영광원전 범군민대책위원회’는 지난 9일 지식경제부,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핵발전소 당국과 영광 3호기 재가동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영광핵발전소 명칭 변경을 요구했다.bolsos prada imitacion
주민들은 영광핵발전소에서 잦은 사고가 발생, 지역 이미지가 외부에 부정적으로 비치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영광을 대표하는 특산품인 굴비, 모싯잎 송편, 천일염, 태양초 고추, 찰보리 등 판매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실제로 영광핵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영광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안전성 우려가 커지고 판매량도 크게 감소,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전국의 다른 핵발전소과는 달리 ‘군’ 단위에서 명칭을 따온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고리원전(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은 ‘리’ 단위에서, 월성원전(경북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은 1995년 경주시에 통합되기 전 월성군의 ‘군’단위에서 명칭을 따왔다. 울진원전(경북 울진군 북면 부구리)은 영광핵발전소와 마찬가지로 ‘군’ 단위에서 명칭을 따왔다.
주민들은 영광핵발전소이 홍농읍 계마리에 위치, ‘홍농’이나 ‘계마’를 딴 명칭으로 바꿀 것을 요구하고 있다. 영광원전의 명칭 변경은 1994년에도 추진됐지만 한국수력원자력의 거부로 무산됐다.replicas bolsos
영광원전 범군민대책위원회 김관용 사무국장은 “원전의 이미지가 좋지 않은데 명칭에서도 영광 전체를 떠올리게 돼 주민들의 피해가 크다”며 “이번에는 적극적으로 명칭 변경을 요구하는 만큼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영광핵발전소의 한 관계자는 “주민들의 우려가 큰 만큼 적극적으로 검토해보겠다”면서도 “국내외 영광원전의 명칭을 모두 바꾸는 데 많은 비용과 절차가 소요되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
|
김동훈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송전탑 백지화” 전북 8개 시군, 한전 송전선로 전면 |
고창중학교, 어버이날 맞아 지역 어르신께 손편지·안마봉 |
정읍시, 공공산후조리원 설계 전면 조정…2026년 10월 |
정읍시, 10년 농촌공간 대개편 시동 |
정읍시, 읍면 평생학습권 보장…‘모두배움터’ 15곳 운영 |
정읍시, 생활환경에서 도시전략으로…친환경 정책 전방위 확 |
고창군, 가정의 달 맞아 고향사랑기부제 ‘1+1+1 통큰 |
고창군, 외부 청년농 유입 증가…정착 지원 강화 |
심덕섭 고창군수, 농민들과 모내기 동행 |
고창교육지원청-웰파크호텔, 교직원 복지 협약 체결 |
전북도의회, 송전선로 일방 추진에 제동 걸다 |
내장산, 다시 ‘한국관광 100선’ 중심에 서다 |
정읍 서남권 추모공원, 운영 방식 전면 조정 |
1894명의 발걸음, 정읍이 혁명을 다시 걷다 |
고창 복분자주, 호주 향해 수출 항해 나섰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