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광핵발전소 3호기, ‘교체 대신 용접’ 추진 논란
김동훈 기자 / 입력 : 2013년 01월 17일(목) 14:59
공유 :   
|
균열이 발생한 영광핵발전소 3호기 제어봉 안내관을 교체하지 않고 용접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어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용접 방식은 ‘땜질 처방’이라며, 핵발전소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부품 교체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영광 3호기 제어봉 안내관의 균열 정비를 위해 덧씌움보강용접을 하기로 결정하고 지난해 11월 말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승인을 요청한 것으로 7일 알려졌다. 덧씌움보강용접은 균열 부위의 표면을 매끈하게 갈고 기계를 이용해 덧씌우기 용접을 하는 수리법이다. 제어봉 안내관은 원자로의 핵분열을 강제로 멈추게 하는 마지막 안전장치로 안내관 균열로 인해 원자로에 제어봉을 넣지 못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핵심 부품이다.
한수원이 부품 교체가 아닌 용접 방식을 택한 것은 시간과 비용 때문이다. 안내봉을 교체하려면 원자로 헤드 전체를 바꿔야 하며, 이 경우 최소 2~3년의 시간과 500억원이 넘는 비용이 발생한다. 용접 방식으로 하면 40여일 만에 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광원전 민관합동대책위의 한 관계자는 “미국 핵발전소에서도 같은 부품에 의한 동일한 사례가 보고되는 등 제작 결함에 따른 균열일 수 있다”면서 “겨울철 전력 수요가 많더라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새 부품으로 교체한 뒤 가동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균열 부위) 주변을 갈아내고 정밀특수용접을 실시하면 처음과 같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헤드 전체를 교체하는 것보다 시간과 비용이 크게 절약된다”고 주장했다.
영광원전 민관합동대책위는 조만간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덧씌우기보강용접에 대한 수용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조사단의 활동은 피폭 위험때문에 3호기 원자로 내부에서 이뤄지기 힘든 만큼 결함검사, 시험용접 참관 등으로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민간측이 요구하고 있는 합동조사단 외국 전문가 참여 문제는 한수원이 기술 유출 우려로 반대하고 있어 재논의 할 예정이다.
영광원전 3호기는 지난해 11월 말 계획예방정비 기간 중에 제어봉 안내관 균열이 발견돼 정밀점검을 하고 있다. 국내 가동 원전에서 제어봉 안내관 균열사고가 나기는 영광 3호기가 처음이다.
|
|
김동훈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송전탑 백지화” 전북 8개 시군, 한전 송전선로 전면 |
고창중학교, 어버이날 맞아 지역 어르신께 손편지·안마봉 |
정읍시, 공공산후조리원 설계 전면 조정…2026년 10월 |
정읍시, 10년 농촌공간 대개편 시동 |
정읍시, 읍면 평생학습권 보장…‘모두배움터’ 15곳 운영 |
정읍시, 생활환경에서 도시전략으로…친환경 정책 전방위 확 |
고창군, 가정의 달 맞아 고향사랑기부제 ‘1+1+1 통큰 |
고창군, 외부 청년농 유입 증가…정착 지원 강화 |
심덕섭 고창군수, 농민들과 모내기 동행 |
고창교육지원청-웰파크호텔, 교직원 복지 협약 체결 |
전북도의회, 송전선로 일방 추진에 제동 걸다 |
내장산, 다시 ‘한국관광 100선’ 중심에 서다 |
정읍 서남권 추모공원, 운영 방식 전면 조정 |
1894명의 발걸음, 정읍이 혁명을 다시 걷다 |
고창 복분자주, 호주 향해 수출 항해 나섰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