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기사제보구독신청기사쓰기 | 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구독신청
광고안내
저작권문의
불편신고
제휴안내
기관,단체보도자료
 
뉴스 > 살며 생각하며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고창현감 문희개(文希凱)와 정유재란 문제
이병열 기자 / 입력 : 2012년 10월 18일(목) 15:44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고창의 임진왜란 당시 기록은 그리 많이 눈에 띄지 않는다. 그이유는 임진왜란 당시 왜군이 전라도를 공격하지 않았고 이순신 장군이 서남해안 제해권을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순신 장군의 서남해안 제해권 장악은 결국 왜군과 명 간의 길고 긴 화의를 이끄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왜와 명의 화의 실패는 왜군이 다시 조선을 침략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왜군의 재침을 정유재란이라 하는데, 그 시기는 1597년 1월 15일(음력)부터 1598년 11월 18일까지이다.

1차 전쟁인 임진왜란은 고창지역에 왜군이 침입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투기사가 없다. 그러나 2차인 정유재란은 짤막하게나마 고창현감 문희개(文希凱, 1550~1610)의 기록을 통해 볼 수 있다. 그 기록은 「호남절의록」과 「조선왕조실록」 선조 대에 있다.

먼저 문희개에 대해 「호남절의록」은 “문희개의 자는 순거(舜擧), 호는 용호(龍湖), 본관은 남평, 충선공 강성군 익점의 후손이고, 증참판 위천(緯天)의 아들이다. 선조 9년(1576)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임진란 때 작은 아버지 풍암공(文緯世)과 함께 창의하여 의병을 거느리고 적을 참살한 공이 있었다. 그 공을 인정받아 고창현감을 제수 받았다. 정유란(1597) 때에 왜적이 갑자기 와서 성을 포위하니 공은 아들 익명(益明)·익화(益華)와 함께 성 안의 사람들을 모아서 적을 막아 싸우다가 갑자기 적의 칼을 맞아 크게 다치니 공의 아들 익명이 공을 업고 진중에 들어왔다. 가동인 강룡 등 10여명과 이민 100여명과 함께 죽을힘을 다해 적을 물리치니 한 읍이 그로 인해 보전할 수 있었다”라는 기록이다. 또한 동서(同書)의 문희개의 아들 문익명 편에는 “정유란 때 아버지인 현감공이 고창에서 적을 방어했는데, 적의 칼에 상처를 입었다. 공은 동생인 주부 익화와 함께 칼날을 무릅쓰고 적진에 들어가 가동인 강룡의 무리 10여인과 함께 전투를 독려하여 적을 물리쳤다. 그 일이 알려져 특별히 좌랑을 제수 받았다”라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조선왕조실록」 선조 30년 정유(1597) 10월 13일 전라관찰사 황신이 “…고창 현감(高敞縣監) 문희개(文希凱)는 왜적이 본도에 침범하자 남원이 함락되기 전에 관아를 버리고 집에 돌아왔는데 지금은 어느 곳에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라고 보고하고, 같은 날 관아를 버리고 도피한 수령들을 등급을 달리하여 처벌하기로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그 중에 고창 현감 문희개는…그 죄가 여러 수령 중에서도 가장 중하여 용서할 수 없습니다. 선전관을 보내서 찾아서 잡아다가 법으로 다스려 여러 사람들에게 경계심을 일깨워야 합니다…”라고 보고하니, 아뢴 대로 윤허하였다.

동년 10월19일 기록이 있고, 12월 9일에도 계속해서 문희개의 죄상이 나온다. 이때는 비변사에서 도망친 수령들의 정상 참작, 재기용 등에 대해 선조에게 아뢰었다. “…또 정응탁(鄭應鐸)·이곡(李穀)·박지술(朴知述)·유대희(兪大橲)·남절(南巀)·송남수(宋枏壽)·문희개(文希凱)·이산휘(李山輝)·정지(丁至)·한수성(韓守性)은 모두 음관(蔭官)이니 납속(納粟)도 하게하고 운량(運糧)도 하게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하니, 전교하기를, “…부유(腐儒)인 음관에 대해서는 더욱 쓸 곳이 없으니 이런 혼잡한 서계(書啓)는 우선 놔두고 거행하지 말라” 하였다. 선조는 이들 음관은 과거를 거치지 아니하고 벼슬을 한 사람으로 썩어빠진 선비로 아무 쓸 곳이 없는 사람들이라 표현하고 있다.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은 1799년 송광사에서 제작된 것으로 편저자를 알 수 없다. 본 서는 총 12권 5책으로 되어 있으며, 임진왜란에서 이인좌(李麟佐)의 난까지 의거를 일으킨 호남사람들의 의로운 행적을 수록한 책이다. 본서를 통해 호남지역의 의병인물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사료이나, 문제는 사실과는 다른 잘못된 내용이 꽤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는 점이다(김동수, 2011).

문희개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장흥일대의 문씨들과 하나 되어 의병항쟁을 시작했고, 그 결과로 1593년 작은 아버지 문위세는 용담현감에, 문희개는 고창현감을 제수받았다. 고창현감 문희개는 1597년 음력 8월 왜군이 남원성을 공격한다는 첩보를 받자마자, 고창읍성을 버리고 장흥으로 도망해 버린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은 그 사료적 가치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귀중한 역사 기록물로, 누구나 인정하는 진실성과 신빙성이 매우 높다. 왕조실록은 사관이 국가의 모든 회의에 참가하여 왕과 신하들이 국사를 논의, 처리하는 것을 사실대로 기록한다. 이러한 사초는 기록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관 이외에는 왕이라도 함부로 열람할 수 없다. 따라서 문희개에 대한 호남절의록의 기록을 보면, 정유재란 전인 임진왜란의 의병활동은 여러 정황상 인정될 수 있으나, 정유재란 발발 이후 고창읍성 전투 기록은 왜곡으로 밖에 볼 수 없다. 물론 문위세는 많은 공을 세워 용담현감을 거쳐 1600년 파주목사를 제수 받았으나 병이 있어 세상을 떠나자 조정에서는 그를 병조참판으로 추증하였다.

이병열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백일 붉게 피어난 여름의 기억, 서현사지 배롱나무
고창 청소년, 해외에서 앞날을 보다
고창군, ‘고창형 긴급복지’로 사각지대 메운다
‘채해병 특검’ 수사관에 임창곤 법무사 선임
고창군 동리시네마, 우대계층 영화관람료 1천원 상시 할인
신재효판소리공원, 여름방학 산공부 참가자 모집
이팝나무 아래서 마을이 다시 웃는다
고창경찰서, 학교폭력 예방 유공자 6명 포상
정읍에서 우주를 보다…‘별나라 여행축제’ 25번째 여정
고창갯벌 탐조캠프, ‘숨결’ 따라 생태의 가치를 걷다
최신뉴스
1[사회·복지]고  [편집자 기자]
2[문화·스포츠]탐
최첨단 시스템, 넓고 쾌적한 환경 모양스크린골프연습장  [안상현 기자]
3[세무상식]부  [심성수 기자]
4[사회·복지]고
고창태양광발전주식회사 매입, 태양광 추진 중?  [김동훈 기자]
5[독자기고][  [편집자 기자]
6[문화·스포츠]문
딱따구리음악회  [유형규 기자]
7[정치·행정]우
고창군의원 중 차남준 의원이 22억9천만원으로 가장 많고, 임정호 의원이 9천만원으로 가장 적어  [김동훈 기자]
8[종합기사]자  [박종은 기자]
9[고창살이]상  [나카무라 기자]
10[사회·복지]바
석정파크빌은 숙박시설이 아닌 '주택'입니다  [김동훈 기자]
11[뉴스]특
<특집> 전국단위모집 자율 고창영선중학교  [김동훈 기자]
12[종합기사]아  [안상현 기자]
13[종합기사]우  [안상현 기자]
14[정치·행정]고  [김동훈 기자]
15[정치·행정]고
괄호안은 전직·직렬 등. 행정직렬은 미표기.  [김동훈 기자]
편집규약 윤리강령 윤리강령 실천요강 광고문의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주간해피데이 / 사업자등록번호: 404-81-36465/ 주소: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곡로 38번지 상원빌딩 3층 / 발행인.편집인: 박성학
mail: hdg0052@naver.com / Tel: 063- 561-0051~2 / Fax : 063-561-5563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북 다01244 | 등록연월일: 2008. 5. 24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성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