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기사제보구독신청기사쓰기 | 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기사제보
구독신청
광고안내
저작권문의
불편신고
제휴안내
기관,단체보도자료
 
뉴스 > 종합기사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유교사회의 교육적 관행(2)향음주례~ 한국인의 교육 풍속 ⑨
연정 기자 / 입력 : 2011년 05월 23일(월) 12:17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연정 김경식
연정교육문화연구소장

향음주례는 매년 10월에 향촌의 선비, 유생(儒生)들이 향교, 서원 등에 모여 학덕과 덕행이 높은 이를 주빈(主賓)으로 모시고 읍양(揖讓)과 주악(奏樂)과 주배(酒盃)로 교환(交歡, 사귀며 즐거움을 나눔)했는데, 특히 예의와 질서를 엄숙하게 하고 상계(相戒)하는 서사(誓詞, 맹세하는 말)를 읽는 의식을 일컫고 있다. 향음주례가 있을 때는 원근의 선비들과 유생들이 모여오고 또한 구경꾼들이 모여 들었다. 이 의식은 매우 성대하였고 향촌의 사회교화에 큰 영향을 가졌었다. 향음주례는 중국의 제도로, 문헌상으로는 『周禮(주례)』의 지관(地官)의 향대부조(鄕大夫條)에 나타난 것이 최초이며, 그 이후 중국의 고대사회에서 청나라 말기까지 중요한 사화교화의 방법으로 존재하여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향음주례가 언제부터 실시되었는지 분명치 않다. 문헌에 의하면 고려 인종 14년(서기 1136년)에 과거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여러 주의 공사(貢士, 향시에 급제하여 국자감시에 응시할 자격이 있는 사람)를 중앙으로 보낼 때 향음주례를 행하도록 규정한 일이 있다. 조선조에 와서는 향음주례는 제도적으로 명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였다. 특히 세종은 집현전에 명하여 상정(祥定)하게 하여 성종 5년(서기 1474년)에 이르러 편찬을 완성하였던 『국조오예의(國朝五禮儀)』시행과 더불어 일반화되었다.
이에 의하면 향음주례의 절차는 대략 다음과 같다.

(1)해마다 음력 10월에 길일을 택하여 모든 주·현에서 행하였으며 주인(主人, 소재지의 官司)이 덕행 있는 연장자 및 효행자를 택하여 학당에 주탁(酒卓)을 마련하고 자리는 달리하나 서민까지 참석시켰다.

(2)행사 일에 주인이 빈(賓, 덕행 있는 연장자 및 효행자)을 학당문 밖에서 맞이하는데, 주빈이 읍양하고 들어오면 여러 빈들이 따라 당상(당상)에 올랐으며

(3)빈이 재배하면 주인이 답배하고 여러 빈이 다 같이 예를 행하고 자리에 앉는다.

(4)주악을 올리는 가운데 주인이 빈에게 술잔을 올리면, 빈이 주인에게 답하여 잔을 올려 5회의 잔 돌림을 한 후 빈과 주인이 다 같이 일어선다. 이 때 주인과 빈 사이에 절도 있는 술잔을 헌주(獻酒)하여 연장자를 존중하고 유덕자를 높이며 예법과 사양을 일으키도록 엄숙하게 하였다.

(5)주연이 끝나면 사정(司正, 여러 사람이 추천한 이)이 앞에 나아가 다음과 같은 계(戒)를 고하였다.
“우러러 생각건대 국가가 예법을 준수하여 예교(禮敎)를 숭상하니 이제 향음을 거행하는 것은 오로지 음식뿐만 아니다. 무릇 우리 어른과 청소년은 제각기 근면하며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며 가정에는 화목하고 밖으로는 향당(鄕黨)에 친하며 서로 일러주고 가르쳐 혹시라도 잘못 된 허물로 삶을 욕되게 함이 없게 할지어다.”

(6)이리하여 향음례 행사장에 있던 이가 처음처럼 재배하고 주빈이 나오면 여러 빈이 그 뒤를 따라 나오고 주인이 문 밖에서 인사를 하였다.

향음주례는 실제에 있어서 효(孝), 제(悌), 목(睦), 린(隣)의 내용을 담은 약조(約條)같은 것을 강석(講釋)하여 흡사 향약의 강신례 같았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조에서는 각 향약에서도 향음주례를 행하기도 하였다.
이상에서처럼 결국 향음주례는 지방의 수령이 앞장서서 향리의 유덕자에게 베푸는 주연이며, 이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효제목린(孝悌睦隣)을 권장하고 주례를 통한 사회교화의 한 방법이기도 하였다. 조선조는 정교일치(政敎一致)의 사회였기 때문에 지방 수령의 제일 중요한 임무는 다산(茶山)의 『목민심서(牧民心書)』에서 말하듯 지방민을 교화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향음주례는 조선조에 있어서 사회교화의 중요한 방법이었다.

지난 주 ‘관례’와 이번 주 ‘향음주례’를 통해 유교사회의 교육적 관행의 일면을 살펴보았는데, ‘관례’는 개인의 통과의례의 한 장면으로 성인으로서의 새로운 긍지와 자각을 심어주고 무한한 젊은이들이 가정과 사회와 국가의 운명에 직결되어 있다는 것을 일깨워 준다는데 그 교육적 의미가 있다. ‘향음주례’는 유교윤리로서 유교사회의 기본윤리의 하나인 장유유서(長幼有序)의 기본정신에 입각하여, 어른을 공경하는 것을 목표로 지방의 수령이 솔선수범하여 행하는 사회적 의례로써 사회교화의 중요한 방법이라는 의미가 있다. 아무튼 이들 두 가지는 유교사회가 예치(禮治)사회라 할 때, 각기 일정한 영역에서 예의 정신을 구현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고, 각기 예교(禮敎)의 정신을 생활화하였다는 데에 그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연정 기자  
- Copyrights ⓒ주간해피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고창농협, 상임이사 선출과 조합장 사퇴—조합 내 갈등, 어디
“2026 고창군수 선거, 누가 도전에 나서는가”
고창 선동초등학교 결국 역사 속으로
이해충돌방지법의 한계
[인터뷰] 고창군장애인체육회 홍기문 사무국장
고창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오는 3월5일 실시
한국국악협회 고창지부, 새 지부장 임병대 무투표 당선
고창미래교육센터, 160억 규모 교육혁신의 첫걸음 내딛다
정읍·고창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마무리…7개 금고 새 이사
정읍시, 초고압 송전선로 전면 반대 선언…“정읍을 포위하는
최신뉴스
“송전탑 백지화” 전북 8개 시군, 한전 송전선로 전면  
고창중학교, 어버이날 맞아 지역 어르신께 손편지·안마봉  
정읍시, 공공산후조리원 설계 전면 조정…2026년 10월  
정읍시, 10년 농촌공간 대개편 시동  
정읍시, 읍면 평생학습권 보장…‘모두배움터’ 15곳 운영  
정읍시, 생활환경에서 도시전략으로…친환경 정책 전방위 확  
고창군, 가정의 달 맞아 고향사랑기부제 ‘1+1+1 통큰  
고창군, 외부 청년농 유입 증가…정착 지원 강화  
심덕섭 고창군수, 농민들과 모내기 동행  
고창교육지원청-웰파크호텔, 교직원 복지 협약 체결  
전북도의회, 송전선로 일방 추진에 제동 걸다  
내장산, 다시 ‘한국관광 100선’ 중심에 서다  
정읍 서남권 추모공원, 운영 방식 전면 조정  
1894명의 발걸음, 정읍이 혁명을 다시 걷다  
고창 복분자주, 호주 향해 수출 항해 나섰다  
편집규약 윤리강령 윤리강령 실천요강 광고문의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주간해피데이 / 사업자등록번호: 404-81-36465/ 주소: 전북 고창군 고창읍 월곡로 38번지 상원빌딩 3층 / 발행인.편집인: 박성학
mail: hdg0052@naver.com / Tel: 063- 561-0051~2 / Fax : 063-561-5563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전북 다01244 | 등록연월일: 2008. 5. 24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성학